본문 바로가기
관심 가지기/과학

과학상식: 지구의 중력

by Deye 2024. 6. 3.

우리가 매일 경험하면서도 잘 인식하지 못하는 힘, 중력.

중력은 왜 생기는걸까 찾아보았다.

 

아이작 뉴턴

중력이 생기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 이론으로 설명된다. 

고전 물리학에서는 뉴턴의 만유인력 법칙으로, 

현대 물리학에서는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으로 중력을 설명한다고 한다.

 

1. 뉴턴의 만유인력 법칙

아이작 뉴턴은 중력을 두 물체 사이의 힘으로 설명하고있다. 

뉴턴의 만유인력 법칙에 따르면, 모든 물체는 질량을 가지고 있으며, 

이 질량 때문에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발생한다고 한다. 

이 힘은 두 물체의 질량에 비례하고, 두 물체 사이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공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만유인력 공식

여기서:

??????????

뭔소린지 모르겠지만 일단넘어가자...

 

 

2.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

알버트 아인슈타인

알버트 아인슈타인은 중력을 보다 근본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일반 상대성 이론을 제시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중력은 질량이 시공간을 휘게 만드는 현상

 

 

질량이 큰 물체는 주변 시공간을 휘게 만들고, 이로 인해 다른 물체들이 휘어진 시공간을 따라 움직이며 중력을 경험하게 된다.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는 중력을 힘이 아니라 시공간의 기하학적 구조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지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데, 이는 태양이 시공간을 휘게 만들어 지구가 그 휘어진 경로를 따라 움직이기 때문이다.

이 두 이론은 중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특히 일반 상대성 이론은 블랙홀, 중력파와 같은 천체물리학적 현상을 설명하는 데 큰 기여를 했다.

 

3. 중력의 측정 기준과 수치

지구의 중력은 중력 가속도로 측정된다. 

표준 중력 가속도는 9.81 m/s²로 정의되며, 이는 물체가 자유 낙하할 때 매초 속도가 9.81 m/s씩 증가한다는 의미다. 

이 값은 지구 표면에서의 평균 중력 가속도이며, 지구의 형태나 지질학적 특성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일단 두 천재분들은 조금 다른의견인것 같지만 질량이 중력을 만든다는 의견이신것같다.

단순히 중력이 뭐지? 왜 생기는걸까 궁금해서 찾아봤는데

제가 멍청한건지 금방 이해되는 개념은 아닌것같다.

그래도 포기하지않고 조금씩 이나마 더 알기위해 관심을 가져야겠다.

뇌 용량 초과로인해 다음시간에 좀더 알아보자.

 

PS. 저의 블로그는 누군가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목적이 아닙니다.

스스로 세상에 관심을 가지고 살아남아보자는 성향의 블로그라는것을 알려드리며

작성된 정보는 정확하지 않을수있음을 양해바랍니다.

 

반응형

'관심 가지기 >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 상식: 지구의 자전과 공전  (1) 2024.05.22
과학 상식: 행성과 항성  (0) 2024.05.16